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은 2012년 6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진행되었으며, 2011년 7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은 40개 팀이 10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으며, 에티오피아, 튀니지, 코트디부아르, 가나, 부르키나파소, 나이지리아, 이집트, 알제리, 카메룬, 세네갈이 각 조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은 2013년 9월 FIFA 랭킹으로 시드를 배정하여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가나,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1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1차 예선은 하위 24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2차 예선 진출 12개 팀을 가려낸 예선 첫 단계였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 |
---|---|
대회 요약 | |
참가팀 수 | 40개 팀 |
경기 수 | 124경기 |
골 수 | 347골 (경기당 2.8골) |
최다 득점자 | 모하메드 압델자헤르 (8골) 아사모아 기안 (6골) 무사 소우 (5골) 헬돈 라모스 (4골) 파피스 시세 (4골) 마지드 제디 (4골) 야신 치카위 (4골) |
대회 세부 정보 | |
기간 | 2012년 6월 1일 ~ 2013년 11월 17일 |
이전 대회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다음 대회 | 201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차 예선 | |
본선 진출 |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가나 나이지리아 |
2.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과 시드 배정을 받은 상위 28개 팀이 참가했다. 조 추첨은 2011년 7월 30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진행되었으며, FIFA 랭킹(2011년 7월 기준)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1][33] 1차 예선 통과 12개 팀은 추첨 당시 팀이 확정되지 않았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A조와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차 예선 승리팀
3. 조별 예선 규칙
4. 경기 결과
; A조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에티오피아 6 4 1 1 8 6 +2 13 남아프리카 공화국 6 3 2 1 12 5 +7 11 보츠와나 6 2 1 3 8 10 -2 7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6 1 0 5 5 12 -7 3
|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
| 2012년 6월 2일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 - 0 | 보츠와나 | 바르텔레미 보간다 경기장 (방기) |
| 2012년 6월 3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1 | 에티오피아 | 로열 바포켕 스타디움 (루스텐버그) |
| 2012년 6월 9일 | 보츠와나 | 1 - 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유니버시티 오브 보츠와나 스타디움 (가보로네) |
| 2012년 6월 10일 | 에티오피아 | 2 - 0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 (아디스아바바) |
| 2013년 3월 23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 - 0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케이프타운 스타디움 (케이프타운) |
| 2013년 3월 24일 | 에티오피아 | 1 - 0 | 보츠와나 |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 (아디스아바바) |
| 2013년 6월 8일 | 보츠와나 | 3 - 0[52] | 에티오피아 | 로바체 스타디움 (로바체) |
| 2013년 6월 8일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0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마드 아히조 종합 운동장 (야운데, 카메룬)[53] |
| 2013년 6월 15일 | 보츠와나 | 3 - 2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로바체 스타디움 (로바체) |
| 2013년 6월 16일 | 에티오피아 | 2 - 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 (아디스아바바) |
| 2013년 9월 7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1 | 보츠와나 | 모세스 마비다 스타디움 (더반) |
| 2013년 9월 7일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 - 2 | 에티오피아 | 스타드 알퐁스 마삼바 데바트 (브라자빌, 콩고 공화국)[53] |
; B조
- 경기 일정 및 결과
|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
| 2012년 6월 2일 | 시에라리온 | 2 - 1 | 카보베르데 | 국립경기장 (프리타운) |
| 2012년 6월 2일 | 튀니지 | 3 - 1 | 적도 기니 | 무스타파 벤 자네트 경기장 (모나스티르) |
| 2012년 6월 9일 | 적도 기니 | 2 - 2 | 시에라리온 | 말라보 뉴 스타디움 (말라보) |
| 2012년 6월 9일 | 카보베르데 | 1 - 2 | 튀니지 | 바르제아 스타디움 (프라이아) |
| 2013년 3월 23일 | 튀니지 | 2 - 1 | 시에라리온 | 11월 7일 경기장 (라데스) |
| 2013년 3월 24일 | 적도 기니 | 0 - 3[54] | 카보베르데 | 말라보 뉴 스타디움 (말라보) |
| 2013년 6월 8일 | 시에라리온 | 2 - 2 | 튀니지 | 국립경기장 (프리타운) |
| 2013년 6월 8일 | 카보베르데 | 3 - 0[55] | 적도 기니 | 바르제아 스타디움 (프라이아) |
| 2013년 6월 15일 | 카보베르데 | 1 - 0 | 시에라리온 | 바르제아 스타디움 (프라이아) |
| 2013년 6월 16일 | 적도 기니 | 1 - 1 | 튀니지 | 말라보 뉴 스타디움 (말라보) |
| 2013년 9월 7일 | 시에라리온 | 3 - 2 | 적도 기니 | 국립경기장 (프리타운) |
| 2013년 9월 7일 | 튀니지 | 3 - 0[56] | 카보베르데 | 11월 7일 경기장 (라데스) |
4. 1. A조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A조에서 에티오피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츠와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여 3차 예선에 진출했다.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에티오피아 | 6 | 4 | 1 | 1 | 8 | 6 | +2 | 1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6 | 3 | 2 | 1 | 12 | 5 | +7 | 11 |
보츠와나 | 6 | 2 | 1 | 3 | 8 | 10 | -2 | 7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6 | 1 | 0 | 5 | 5 | 12 | -7 | 3 |
에티오피아는 남아공과의 홈경기에서 2-1 승리를 거두는 등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다. 보츠와나는 에티오피아와의 홈경기에서 3-0 몰수승을 거두었으나, 에티오피아가 출전 자격이 없는 미냐헬 테쇼메 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확인되어 번복되었다.[34]
4. 2. B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6 | 4 | 2 | 0 | 13 | 6 | +7 | 14 | |
style="text-align:left;" | | 6 | 3 | 0 | 3 | 9 | 7 | +2 | 9 |
style="text-align:left;" | | 6 | 2 | 2 | 2 | 10 | 10 | 0 | 8 |
style="text-align:left;" | | 6 | 0 | 2 | 4 | 6 | 15 | -9 | 2 |
- 튀니지가 카보베르데, 시에라리온, 적도 기니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여 3차 예선에 진출했다.
- 카보베르데는 적도 기니와의 두 경기에서 모두 몰수승(3-0)을 거두었으나, 적도 기니가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확인되어 번복되었다.[52]
- 튀니지는 카보베르데와의 홈경기에서 몰수승(3-0)을 거두었으나, 카보베르데가 퇴장당한 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확인되어 번복되었다.[52]
4. 3. C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6 | 4 | 2 | 0 | 17 | 5 | +12 | 14 | |
style="text-align:left;" | | 6 | 2 | 3 | 1 | 9 | 8 | +1 | 9 |
style="text-align:left;" | | 6 | 2 | 0 | 4 | 8 | 12 | -4 | 6 |
style="text-align:left;" | | 6 | 1 | 1 | 4 | 4 | 13 | -9 | 4 |
코트디부아르는 감비아와의 홈, 원정 경기에서 모두 3-0 완승을 거두었다.[44] 탄자니아는 모로코와의 홈경기에서 3-1 승리를 기록했지만,[46] 조 3위에 그쳤다.
4. 4. D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6 | 4 | 1 | 1 | 18 | 3 | +15 | 13 | |
style="text-align:left;"| | 6 | 3 | 2 | 1 | 11 | 4 | +7 | 11 |
style="text-align:left;"| | 6 | 1 | 2 | 3 | 4 | 16 | -12 | 5 |
style="text-align:left;"| | 6 | 0 | 3 | 3 | 3 | 13 | -10 | 3 |
- 가나는 레소토와의 홈경기에서 7-0 대승을 거두었다.
- 수단은 잠비아와의 홈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지만,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확인되어 몰수패(0-3)를 당했다.[34]